교환학생나눔터

HOME커뮤니티교환학생나눔터

test
  • AP 시험규정
  • 관리자
  • 작성일 : 2017-01-12 14:22:15
    <AP 시험 규정 > 

    AP 시험을 치른 학생들중 200여명의 AP점수가 무효화되는 일이 발생되었다. 이것은 캘리포니아주 한 고등학교에서 원형 테이블에서 시험을 치렀기 때문이다.  많은 노력을 한 학생들에게 안타까운 일이 아닐수 없다 .AP 시험 규정에 따르면 시험을 치르는 학생들은 일정 거리를두고 앉아야 하며, 서로 얼굴을 마주 보는 식으로 앉는 것이 금지되어 있다.따라서 원형 테이블에 앉아서 시험을 보는 것은 이러한 규정에어긋나게 된다.


    ■AP 시험 규정

    시험은 정해진 날짜와 시간에 시행되어야 한다.상황에 따라 감독관이 시험을 조금 지체할 수는 있지만, 1시간을넘어서는 안 된다. 또한 결코 일찍 시작해서도 안 된다.

    지시가 있기 전에 시험 내용을 보는 것 역시 금지되어 있으며,시험이 끝난 후에도 시험지나 자신의 노트를 시험장 밖으로 갖고 
    나갈 수 없다. 쉬는 시간에 시험 내용에 대해 다른 사람들과 의논하는 것도 금지되어 있다. 시험에 영향을 미치는 책이나 노트, 선생님이나 다른 학생 등 그 어떤 접촉도 금지되며, 쉬는 시간에 시험을 보는 건물을 떠나는 것도 금지되어 있다.

    시험을 보고 나서 시험 내용에 대해서 의논하거나 인터넷 등을 통해 포스팅하는 것도 금지되어 있다.시험에 대해서 트위터 등을 통해 얘기하다 적발되면 시험점수가 취소될 수 있다. 따라서 위험한 일은 일체 하지 않는 것이 좋다(예외: 칼리지 보드에서는 시험 후 2일이 지나서 무료로 인터넷 상에 샘플문제를 공개한다. 이 경우는 일반에 공개된 시험이기에 시험문제에 관해 서로 이야기를 해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시험 예외 규정(Testing Irregularities)

    AP 시험을 치르는 학생들과 학부모들을 겁나게 하는 규정이 바로 이 예외 규정이다.이 예외 규정에 따르면 시험 감독관의 실수나 그밖의 모든 실수가 발생해도 시험점수를 무효화 할 것인지의 여부는 철저하게 칼리지 보드 측에서 결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문제가 된 시험이 플러스 혹은 마이너스 요인이 되어도 모든 결정은 칼리지 보드 측에서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아무런 잘못이 없었던 밀브레 학생들도 이 규정으로 인해 점수가 무효화되고 다시 시험을 치러야 하는 결과를 얻게 된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

    먼저 시험 규정을 잘 익혀 두어야 할 것이다. 시험 규정을 숙지하고 있다면, 시험 감독관이나 그밖에 어떤 실수가 있을 때에 시험 응시를 거부하고 다른 시험을 치를 수 있도록 요청할 수 있다.물론 이것이 최선의 방법은 아니다. 앞으로 치루어지는 모든 시험에서 학생들과 학부모님들은 시험을 규정을 확인하여 불이익을 당하는 일이 없어야 할듯합니다. 


     
작성자 :
암호 :
스팸방지 : 좌측의 문자를 입력해주세요.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47 대입준비 사전에 꼼꼼한 전략이 필요하다. (11학년).. 관리자 18-01-15 1949
46 대입준비 사전에 꼼꼼한 전략이 필요하다. (10학년).. 관리자 18-01-15 1988
45 대입준비 사전에 꼼꼼한 전략이 필요하다. (9학년).. 관리자 18-01-15 1950
44 리더십 이해하기 관리자 18-01-02 1917
43 12학년- 좋은 성적 마무리를 위한 팁 관리자 18-01-02 1831
42 대학 Regular지원서 점검사항 관리자 17-12-12 1857
41 STEM 이란? / 미국대학 관리자 17-12-01 2063
40 Community College 활용하기 관리자 17-12-01 1846
39 SAT고득점의 비결 -학교수업충실 관리자 17-11-14 2026
38 ACT 특징과 준비요령 ! 관리자 17-11-06 1831
37 [ACT의 특징과 준비요령] 응시 시기는 ‘11학년 봄학기’ 가.. 관리자 17-11-06 1810
36 알아야할 미국교육용어와 상식 관리자 17-11-06 1868
35 미국명문대입시비밀 - 커뮤니티에 헌신과 열정 확실히보여야한.. 관리자 17-10-17 1872
34 복수·복합전공 제도 활용하면 취업에도 유리 관리자 17-09-06 1952
33 미국조기지원에 관한 조언 관리자 17-09-06 1919
32 학생과 대학의 ‘궁합’이 잘 맞아야 성공적 대학생활.. 관리자 17-08-21 1953
31 새 학년도에 학부모님께 드리는 메세지 관리자 17-08-21 1927
30 대학지원하기 관리자 17-08-21 2053
29 얼리 디시전의 함점 관리자 17-08-21 1968
28 추천서는 대학지원에 얼마나 중요할까? 관리자 17-06-16 1994

[처음] [2] [3] [4] [5] [6] [7] [8] [9] [10] [11] ▷ [끝]

작성자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