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환학생나눔터

HOME커뮤니티교환학생나눔터

test
  • 전공이야기 - Biology
  • 관리자
  • 작성일 : 2021-07-08 16:29:01
    사회가 그리고 산업이 변화하며 당연히 대학 전공에도 흐름이라는 것이 있어 지원 전공에도 그 추세가 보여 진다. 그리고 지난 몇 년 동안 눈에 뜨이게 늘어난 희망 전공 중 하나가 Biology이다. 물론 학생의 이력에서도 분명 하게 Biology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 읽혀질 만큼의 배경이 있다면 어느 정도는 이해가 가지만 학과목에서 보여지는 능력은 물론이고 과외활동에서도 특정 배경을 가늠하기 어려운 뜬금없는 Biology 희망 지원 학생들도 간혹 보인다.

    물론 대부분의 그런 학생들의 경우에는 의대 진학을 염두에 둔 이유가 압도적이다. 상담하는 입장에서는 항상 “Why Biology??”라는 질문을 던지고 그것이 학생에게 최선의 지원 전공이고 진로인지 확인하는 작업을 하기도 한다. 그러면 의대 진학 이외에 Biology 전공을 하면 어떤 직업이 존재하고 가능할지 알아보자.

    Biology란 간단히 말하자면 세상에 존재하는 가장 작은 단세포 유기체에서 큰 동식물에 이르기까지 모든 생물에 대한 연구이다. 다양한 종류의 하부 생물학이 존재하며 따라서 생물학자가 되는 길도 많다. 생물학자는 야생 동물 생물학, 법의학 생물학, 미생물학, 환경 생물학 및 생명 공학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경력을 쌓을 수 있다. 전문 분야와 교육 이수 범위에 따라 법의학 생물학자, 미생물학자, 식물학자, 생물학자, 곤충학자, 조류학자 또는 생물학 엔지니어 등으로 진로가 가능하다. 일부 생물학자는 실험실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반면, 또 다른 생물학자들은 자연 서식지에서 유기체를 연구하는 야외 작업을 하게 된다. 
     
    ■법의학 생물학자(Forensic Biologist)
    일반적으로 법 집행 기관 및 사설 법의학 연구소에서 일하게 된다. 그들은 인간의 모발과 혈액을 포함하여 범죄 현장에서 수집된 다양한 생물학적 증거물을 조사하고 사망 원인을 밝히기 위해 노력하고 법적 절차에서 증거로 사용할 법의학 보고서를 작성하며 때로는 전문가 증인 역할을 하기도 한다. 해당 직업에 종사 하기 위해서는 법의학 생물학 학사 학위 이상을 필요로 한다.

    ■야생동물 생물학자(Wildlife Biologist)
    특정 종에 따라 분류되는 야생 동식물을 연구한다. 생물학자들은 돌고래, 고래 및 기타 해양 포유류를 연구하고 조류 학자, 곤충 학자 및 어류 학자는 조류, 곤충 및 야생 물고기들을 각각 연구한다. 또한 식물학자는 식물의 성장, 질병 및 용도를 연구하게 된다. 취업 분야는 동물원, 온실, 수족관 및 환경 기관을 포함하며 초급 야생물 생물학자는 일반적으로 야생 생물 생물학에서 최소한 학사 학위를 보유하고 있으며 연구 및 교육 직위를 가진 사람들은 박사 학위를 보유하고 있다.

    ■미생물 학자(Microbiologist)
    미생물학자는 현미경을 통해서만 볼 수 있는 유기체를 연구하는 실험실 기반 전문가이다. 세균 학자는 사람, 식물 및 동물에 대한 박테리아의 영향을 연구하는 반면 바이러스 학자는 바이러스에 중점을 두게 된다. 균류학자는 곰팡이, 효모 및 기타 유형의 균류를 연구하고 종종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이점을 확인하고 면역학자는 동물 및 식물의 면역 체계가 질병을 유발하는 미생물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연구하게 된다. 기관이나 회사의 연구실, 제약 회사, 대학, 농업 제조업체에 취업이 가능하다.

    ■생물공학자(Biological Engineer) 
    생물공학은 전통적인 생물학 분야와는 조금 다른 분야이다. 최소한 생명공학 학사 학위를 소지하고 관련 지식으로 준비된 생물공학자들은 식품 가공 또는 의약품 및 기타 생물학적 제품 제조를 위한 장비를 설계하고, 또한 온실 환경을 관리하고 환경 생분해에 대한 해결책을 찾는 일을 한다. 취업 분야는 식품 가공 공장, 제약 회사, 환경 보호 단체 및 생명 공학 관련 회사들이다.

    ■해양 생물학자(Marine Biologist)
    해당 전공자는 샘플링, 분석 및 지리 정보 시스템에 대한 교육을 받고 업무에 적용 가능한 실용적인 지식을 갖추게 되고 연구자, 교수, 천연 자원 관리자, 수중 생물 학자, 수족관 직원 또는 수산 생물 학자로 직업을 찾을 수 있다. 즉, 대학 등의 연구기관, 정부 기관, 국제 기구, 민간 컨설팅 회사, 비영리 연구소 등 아주 다양한 직업 환경이 가능하다. 해양 생물학자가 되기 위해서는 생물학, 해양학 또는 동물학과 같은 관련 전공 취득이 필요하며 일반적으로는 석사 학위 이상을 취득하게 된다.


     
작성자 :
암호 :
스팸방지 : 좌측의 문자를 입력해주세요.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147 UC(University of California) 바로 알기... 관리자 22-11-01 5694
146 고교시절 잘 보내기 - 2/2 관리자 22-10-20 2402
145 고교시절 잘 보내기 - 1 /2 관리자 22-10-20 1072
144 미국대학입시 적성파악하여 전략적으로 지원 관리자 22-10-20 1019
143 미국대입에서 중요성이커지는 플러스 요인 관리자 22-09-30 989
142 테스트 옵셔널(test optional)VS 테스트 블라인드(test blind).. 관리자 22-09-06 892
141 대화 능력 향상, 시간과 장소에 구애없이 꾸준하게.. 관리자 22-09-06 740
140 온라인 과외활동 활용하기 관리자 22-09-06 825
139 적성: 관심사를 선택기준으로 관리자 22-07-22 928
138 나에게 맞는 액티비티 자원봉사 찾기 관리자 22-07-22 825
137 수업준비 시간을 고려한 학점받기 어려운 전공들.. 관리자 22-06-21 1057
136 대입준비:학년별 로드맵 작성으로 효과적인 준비 -2.. 관리자 22-06-17 1078
135 대입준비:학년별 로드맵 작성으로 효과적인 준비-1.. 관리자 22-06-17 874
134 취업전망이 좋은 8개 전공 관리자 22-05-04 1618
133 <전공> 인지 과학(Cognitive Science) 관리자 22-05-04 1097
132 <전공> 화공학 관리자 22-05-04 1018
131 Summer camp 와 대입 경쟁력 관리자 22-05-04 1060
130 4년제 대학80% 대입전형 SAT·ACT점수제출 배제 관리자 22-04-26 938
129 대입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 같은 과외 활동 ?.. 관리자 22-04-14 1014
128 AP시험 -2 관리자 22-03-16 2338

[처음] ◁ [1] [2] [3] [4] [5] [6] [7] [8] [9] [10] [끝]

작성자   제목   내용